안녕하세요 :) 평소에는 잘 눈여겨 보지 않다가 문득, 앞니를 뚫어져라 봤는데 치아에 금이 가있는 것 같을 때 있죠? 교정을 하기 전까지는 치아에 대해 매번 관심을 주진 않았는데, 교정하고부터는 치아가 가지런해졌는지 얼마나 들어갔는지 계속 관찰하면서 금이 가있는 치아를 발견하기도 합니다.
또, 어금니 씹는 면 쪽이 살짝 깨져나가서 거칠어지게 느껴진다거나, 심하게는 음식을 씹고 입을 뗄 때 통증이 느껴질 때가 금이 가서 그렇다고 보여집니다.
오늘은, 치아금감 현상, 즉 치아균열증후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아볼게요~.
< 목차 >
- 치아균열증후군 (치아금감) 이란?
- 치아균열증후군 (치아금감) 의 원인
- 치아균열증후군 치료방법
1. 치아균열증후군 (치아금감) 이란?
: 치아에 무리가 가해져 미세한 균열이 일어나 금이 가있는 현상을 "치아균열증후군" 이라고 해요. 균열의 정도에 따라서 딱딱한 음식을 씹을 때 깜짝 놀랄 정도로 시큰한 느낌이 생겼다가 곧 사라지기도 하고, 차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도 통증이 생길 수 있어요.
다른 뼈들은 부러지거나 금이 가면 붙기마련이지만, 한 번 금이 간 치아는 다시 붙지 않아요. 오랜 세월의 시간동안 축적된 힘으로 인해 금이 갈수도, 한 번의 강한 힘으로 금이 갈수도 있습니다.
2. 치아균열증후군 (치아금감) 의 원인
1) 유난히 질기거나 (특히 오징어) 딱딱한 음식을 좋아하는 식습관으로 외국인에 비해 한국인은 금이 간 치아가 많은 편이에요.
또, 얼음이나 사탕과 같은 단단한 걸 어렸을때부터 깨 먹는 걸 많이 하기도 하는데, 그런 것들이 쌓여 40~50 대쯤 금 간 치아가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해요.
2) 충치로 인해 치아에 큰 충전물이 있을 때 많이 발생해요.
큰 충천물로 떼우면 남아있는 치질이 얇아지기 때문에 강한 힘이 아니어도 금이 가는 경우도 꽤 많이 볼 수 있어요. 인레이 뿐만 아니라 아말감이나 레진이라는 바로 당일로 떼우는 재료도 넓은 부위에 하면 남아있는 치질이 얇아져 금이 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이 갈 지 모른다고 미리서부터 겁먹고 크라운을 씌워버리는 건 치아가 너무 아까워요. 치아를 최대한 적게 깎아서 치료를 해야 치아유지기간이 더욱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번에 크라운을 씌운 사람은 7~10년뒤 다시 크라운을 벗겨서 씌우거나, 신경치료를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지만, 인레이나 레진, 아말감 같은 재료로 일부만 떼운 사람은 몇년 후 금이 갔다고 해도 그때가서 크라운을 하면 신경치료를 하거나 하는 치료는 좀 더 미룰 수도 있죠.
3. 치아균열증후군 치료방법
: 치아균열은 유리에 금이 갔을 때처럼 서서히 진행됩니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균열이 진행된 틈으로 세균이 침투해 치아 신경조직에 염증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에는 뿌리 끝 주변 뼈조직에도 염증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해요. 또한, 균열이 뿌리끝까지 진행된 경우 치근이 갈라진 경우도 종종 발견됩니다. 뿌리끝까지 금이 간 경우는 발치가 불가피하게 됩니다.
<위 사진> 처럼 뿌리 부분까지 금이 가서 x-ray 상에서도 확인이 될만큼 심한 경우, 발치를 하는 방법 외에는 없는데요.
뿌리에 금이 가있어도 x-ray상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아 확인이 불가해 처음에는 살리는 치료를 먼저 진행하게 됩니다.
1) 통증이 없는데, 금이 간 경우
▶ 초기단계의 금이 간 치아는 간단한 교합조정으로 치아에 힘이 많이 닿이지 않도록 예방해주거나, 금이 간 부위만 삭제한 후 충전치료를 할 수 있어요.
하지만, 통증이 없다면 미리서부터 뭔가를 하기보다는 단단하고 질긴음식은 피하면서 조심해주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힘이 많이 닿이지 않도록 약간의 교합조정도 함께 해주시면 더욱 좋아요.
2) 씹고 뗄 때(저작 시) 통증이 있는 경우
▶ 균열이 좀 더 진행된 경우로, 먼저 크라운을 씌우기 위해 하는 임시치아까지 낀 상황에서 1~2주 정도 지켜보고, 계속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통증이 나아졌다면 크라운상태로 지켜볼 수 있어요.
신경치료는 내 치아를 살리는 마지막 치료기때문에 가능하면 안하는 게 좋아요. 임시치아 상태에서 괜찮았다면, 크라운을 임시로 붙여서 또 사용해보고 신중하게 결정하시면 됩니다.
3) 씹을 때, 뜨거운 것에 통증이 있는 경우
▶ 뜨거운 것에도 통증이 있으며, 씹을 때 통증이 심한 경우는 바로 신경치료를 들어가야 해요. 신경치료를 한 후에도 통증이 있다면, 뿌리 끝까지 금이 갔다고 보고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뿌리 끝까지 금이 갔음에도 x-ray상에서 전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신경치료 후에도 계속 통증이 지속되는 지를 체크해서 발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2020/12/23 - [Dental IQ 높이기] - 신경치료, 안 할 수는 없나요? (feat, 왜 해야 하죠? 비용은? 시간은?)를 참고
신경치료, 안 할 수는 없나요? (feat, 왜 해야 하죠? 비용은? 시간은?)
안녕하세요 :) 치과치료는 항상 두려운 존재지만, 특히 신경치료를 해본 사람이라면 그 고통과 두려움은 배가 되는 것 같아요. 저는 신경치료를 다행히 아직까지는(?) 해보진 않았는데, 치료하는
yoon-yuns2023.tistory.com
사실상, 이렇게 금이 아예 가서 두갈레로 깨지고, 뿌리쪽까지 가지 않은 경우에는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할 수도 있지만, 발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더 큽니다.
오늘은 치아균열증후군 (금 간 치아) 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crack (금이 간 치아)의 경우 진단도 쉽지가 않고, 치료법도 여러 단계로 차츰 거쳐가야만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번에 괜찮아지면 좋지만, 신중하게 진단하고 치료해야 하는 경우이기도 하죠.
지금부터라도 얼음과 사탕은 녹여서 먹고, 젊었을때부터 질긴오징어나 딱딱한 음식은 조심해주시는 게 치아균열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ental IQ 높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보철치료, 인레이 종류와 장.단점, 비용 모든 것 (feat, 소요시간) (0) | 2021.01.06 |
---|---|
치과보철치료란? 치과보철이 필요한 경우와 종류 (feat, 가격, 비용) (0) | 2021.01.04 |
신경치료 시 주의사항 및 나타나는 증상들 (0) | 2020.12.25 |
신경치료, 안 할 수는 없나요? (feat, 왜 해야 하죠? 비용은? 시간은?) (3) | 2020.12.23 |
사랑니에 대한 궁금증2 (2) | 202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