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 팁

부부 연말정산 전략 세우기 ♥

솔로일 때는 단순히 나의 경제상황, 내 카드결제만 신경쓰면 되서 어렵긴 해도 나름 간단했어요. 하지만, 결혼하고나니 돈을 서로 같이 합치긴 했지만, 카드는 남편명의 내명의 따로 있어서 복잡하더라구요. 생활비를 온전히 남편카드로 하고 이건 내꺼로 결제하면 되나? 하다가도 그렇게 되면 또 연말정산은 어떻게 되는 거지? 

너무 어렵더라구요..ㅎㅎ 또, 신용카드 15% 받는 연말정산보다는 체크카드 30% 가 두배 크니까 체크카드 위주로 쓰고 싶은데, 혜택을 받기 위해서 써야하는 신용카드도 있다보니 (안마의자..할인 받기 위한... 하지만 친정에 있음...) 더더욱 계산하기가 어지간히 어려운 게 아니더라구요. 연말정산 하나만 생각하던지, 가계 저축과 잘 사용하기 위한 설정만 하던지.. 가뜩이나 멀티도 어려운데 ㅠㅠ 그래서 어쨌거나, 연말정산만 보고 괜찮은 방법을 알아볼게요.

 


 

부부 연말정산 (feat 맞벌이)

 

▶ 부부 간 급여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같은 세율구간 일 때)

- 소득이 비교적 낮은 배우자 명의의 카드, 현금영수증 우선 활용 하여 최저 사용금액 초과 금액 달성을 빨리 하시는 걸 추천. (카드 사용을 무한정할 것이 아니기때문에)

ex) 소득이 비교적 낮은 배우자 명의로 소득공제 최대 300만원 한도를 채운 후, 높은 배우자 명의로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으로 결제 해서 빠르게 한도 올리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부부 간 급여 차이가 큰 경우 (다른 세율구간 일 때)

- 소득이 비교적 높은 배우자 명의의 카드, 현금영수증 활용하는 해서 소득세율을 낮춰주는 게 더 이득입니다. (소득세율 구간을 낮출 수 있는지를 체크해봐야 함)

ex) 소득이 높은 배우자 명의로 소득공제를 받아 소득세율 구간을 낮춰줘서, 24%의 소득세율이 15%의 소득세율로 적용이 될 수 있다면 더욱 더 이득.

 

* 소득 세율표는

2020/12/11 - [연말정산 팁] - 연말정산 개념, 소득공제, 세액공제에 대해 알고 시작하자 참고 하시면 좋아요 :)

 


 

1) 의료비 세액공제 (feat 맞벌이)

총 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의료비에 대해서 공제 적용이 됨. (즉, 급여액의 3%가 초과 안된다면 아예 공제 받을 수 없음을 의미해요.)

비교적 연봉이 낮은 배우자의 명의로 올인 하시는 걸 추천.

(의료비는 사실상 엄청 많이 나오진 않아요. 조금의 금액이라도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급여가 낮은 배우자의 명의로 몰아 주는 것이 이득) !! 중요합니당 ♥

ex) 의료비 지출이 15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총 급여액 배우자A (4800만원) 배우자B (3500만원)
최저 사용 기준 4800만원 X 3% = 144만원 3500만원 X 3% = 105만원
의료비 세액공제액 (150만원-144만원) X 15%=9천원 (150만원-105만원) X 15% = 6만7,500원

 

즉, 배우자A 의 연봉이 높기 때문에, 3% 초과 금액 기준자체가 높게 설정되어 있어요. 배우자B의 연봉이 비교적 더 낮기 때문에, 3% 초과 금액 기준이 좀 더 낮아서 나머지 금액 적용이 가능한 비용자체가 높습니다. 

!! 부부맞벌이의 의료비 세액공제는 무조건 낮은 연봉의 배우자 명의로 몰아주기 !! 

 

2) 연금저축 세액공제 (feat 맞벌이)

배우자1명이 최대 공제한도를 모두 충족 했다면?

다른 배우자 연금저축에 불입하여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더 유리. (같은 금액을 불입해도 전혀 다른 절세 효과가 나올 수 있어요.)

연금저축은

총 급여액이 5천500만원 이하 시 : 16.5% 
총 급여액이 5천500만원 초과 ~ 1억 2,000만원 이하 시 : 13.2% 

절세 혜택을 주므로, 5천500만원 이하의 배우자가 연금저축에 먼저 불입 후 공제한도를 모두 충족했다면 다른 배우자 연금저축 불입하면 됨. 

 

3) 기본공제 (feat 맞벌이)

부양가족 소득공제는 부부 중 1인만 공제 가능 (중복공제 불가) 하므로, 

소득세율 구간이 다르면, 소득이 높은 쪽에 기본공제 대상자를 몰아주기. 

* 기본공제를 받는 배우자가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음.

 

<부양가족 소득공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0/12/13 - [연말정산 팁] - 소득공제 모든 것! (소득공제 항목, 비항목, 중복공제 항목) 참고 하시면 좋아요 :)

 

4) 자녀 세액공제 (feat 맞벌이)

기본공제를 받는 사람이 자녀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음.

 소득세율 구간이 다르면, 소득이 높은 쪽에 기본공제 대상자를 몰아주기. 

 

<자녀 세액공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0/12/14 - [연말정산 팁] - 세액공제 모든 것! (세액공제 항목) 참고 하시면 좋아요 :)

 

5) 교육비 세액공제 (feat 맞벌이)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교육비 공제 안됨. 

무조건 본인명의로 각자 지출해야 공제 적용이 됩니다.

기본공제를 받는 배우자 명의로 부양가족 교육비 지출해야 적용이 됨. (자녀 교육비는 기본공제 배우자가 지출)

 

6)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feat 맞벌이)

총 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의 소득세율 구간이 더 높은 배우자에게 무주택 세대주 타이틀을 주고,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를 받으면 됩니다.

1년에 240만원 한도, 최대 96만원의 절세 혜택을 볼 수 있어요.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0/12/13 - [연말정산 팁] - 소득공제 모든 것! (소득공제 항목, 비항목, 중복공제 항목) 한번 더 참고 하시면 좋아요 :)

 

오늘은 부부맞벌이 경우 연말정산 최대로 받을 전략을 한번 정리해 보았는데요. 혼자서도 연말정산을 공략하기가 어려운데, 부부맞벌이 하면서 연말정산을 최대로 받을 전략을 세우는 것은 더 복잡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이렇게 공부한 것만으로도 엄청 앞서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이번에 못하시더라도 내년 연말정산에서는 승리할 수 있도록 일찍 시도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ㅎㅎ

 

다음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계좌와 IRP 같은 절세혜택이 꽤 높은 상품을 가입하기 위해서, 내 상황에서는 얼만큼 넣어야 하는지? 를 다뤄볼게요. 사실, 연금은 지금당장 쓸 수 없고, 중간에 해지하면 손해가 나기 때문에 얼만큼을 넣어야 최대로 받으면서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일 지 궁금하실 것 같아요 ^^